빠른 속도로 올라가는 물가 때문에 월급 상승률과 은행 이자만으로는 살아가기 힘든게 현실입니다.
최근 물가상승률은 3~5%까지 상승하여 소비가 위축되고 경제 침체가 오는 것이 아니냐라는 말도 있습니다.
쉽게생각해 물가 상승률이 5%라고 가정한다면, 내 연봉이 5%가 올라도 똑같은 돈을 벌고 있는 것이 되죠..
그래서 요즘은 돈을 불리고 싶어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는 부동산, 주식, 코인, 채권, 금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증권사 계좌만 있으면 쉽게 사고 팔 수 있는 주식은 안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주식 가격은 하루에도 몇 %가 오르고 떨어지는 아주 위험한 자산이기 때문에 투자할 기업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 것이 필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이기 때문에 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재무제표를 공부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재무제표란?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관한 보고서
즉, 쉽게 말해서 기업의 돈, 재산이 얼마나 있고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보고서입니다.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은 재무제표를 필수적으로 공개해야 합니다.
기업의 재산상태나 벌어들이는 수입을 알아야 우리가 투자를 하겠죠? 아무 것도 모르고 투자를 한다면 그건 도박이죠.
재무제표 보는 방법
1. 전자공시시스템 접속
2. 정기공시 클릭 및 회사명 검색
* 정기공시 : 정기적으로 사업내용이나 재무상황, 영업실적 등 기업의 내용을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에게 알리는 제도
3. 분기 보고서 클릭 (원하는 기간의 보고서 확인)
4. 문서목차- 재무제표
이렇게 확인한 재무제표에 나오는 재산과 수익의 상태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 지표 3가지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PER ( = PRICE EARNINGS RATIO)
순이익 대비 시가총액 = 시가총액 / 1년 당기순이익
벌어들이는 돈 대비 시가총액이 얼마로 측정되어있냐를 뜻합니다.
PER가 높을수록 이 기업은 고평가, PER가 낮을 수록 저평가 되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의 입장에서 PER를 성장가능성으로 볼 수 있습니다. PER가 높을수록 해당기업에 대해 높은 수익을 기대하거나 성장가능성을 높이 평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PER의 역수는 기대수익률
EX) 1000만원을 버는 치킨집의 시가총액이 3억이라면 PER = 30. 이 치킨집은 1년간 당기순이익이 1000만원인데, 3억벌려면 30년 걸린다는 의미!
PBR ( = PRICE BOOK VALUE RATIO)
자본 대비 시가총액 = 시가총액 / 자기자본
EX) 1억원의 자본이 있는 치킨집의 시가총액이 3억이라면 PBR = 3
ROE ( = RETURN ON EQUITY)
자본 대비 수익률 = 1년 당기순이익 / 자본(자기자본)
→ 1년간 얼마의 자본금으로 얼마를 벌었느냐를 의미합니다.
EX) 1억원의 자본이 있는 치킨집이 1년간 1000만원을 벌었다면 ROE = 10%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기예금 금리비교 (1금융권,2금융권) (0) | 2024.03.02 |
---|---|
비트코인 개념(전자화폐, 암호화폐) (0) | 2024.03.02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0) | 2024.02.05 |
개인연금 퇴직연금 (0) | 2024.01.30 |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1) | 2024.01.28 |